2020년 9월 1일 제정
원고의 제출
- 본 『시민정치연구』에는 사회과학 전반에 관한 이론과 실태를 조사․연구하여 학문의 발전을 기여하는 내용을 주된 것으로 한다.
- 제출된 원고는 다른 학술지에 게재를 위하여 심사를 의뢰한 논문이나 혹은 다른 학술지에 게재한 논문과 중복되지 않는 논문에 한한다.
- 논문의 제출자격은 사회과학분야 박사학위 소지자에게 부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단, 논문의 내용에 따라 편집위원회의 심사를 거쳐 위의 요건에 준하는 자의 논문도 게재할 수 있다.
투고된 논문이 심사를 거쳐 게재될 경우, 본 논문에 따른 권리와 이익, 저작권 및 디지털 저작권에 대한 모든 권한 행사 등을 시민정치연구소에 이양한다.
논문 투고 시, 『시민정치연구』의 연구윤리규정, 투고규정, 심사규정 및 저작권 활용동의, 권한명세 등을 확인하고 이를 준수할 것을 서약하는 논문게재신청서를 같이 제출한다.
원고의 작성
- 원고는 한글프로그램(한글 97이상)을 사용하여 A4용지에 단면으로 작성한다.
- 원고의 분량은 본문, 각주, 참고문헌을 포함하여 200자 원고지 150매 내외로 한다.
- 원고는 표지, 국문 및 영문 요약, 본문, 각주, 참고 문헌, 표 및 그림으로 구성된다.
- 표지는 논문의 제목과 기고자의 이름, 소속, 주소, 전화번호, 이메일주소를 포함한다.
- 국문 요약은 제목과 저자명을 포함하여 요약문은 200자 원고지 3매를 넘지 못한다. 영문 요약은 영문 제목과 저자의 영문 성명을 포함하여 200단어를 넘지 못한다.
- 본문은 새로운 면에서 제목을 쓴 후 시작한다. 본문의 장, 절, 항의 번호는 Ⅰ, 1, 1)의 예에 따라 순차적으로 매긴다.
- 인용저서나 논문은 본문 가운데 (저자 연도, (필요한 경우) 쪽수)의 형식을 사용한다.
- 각주는 본문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이나 관련된 논의의 소개가 꼭 필요한 경우에 한하며 가능한 짧게 한다. 5행(200자 원고지 1장)을 초과하는 각주는 본문 중에 편입시키도록 노력한다. 각주는 본문 중의 적당한 곳에(구두점이 있을 경우 그 다음에) 일련 번호로 표시하고 내용은 본문 해당 면의 하단에 위치시킨다. 각주 내에서 각주의 번호는 본문 좌단과 일치시키되 둘째 줄부터는 첫째 줄 각주번호 뒤에 나오는 첫글자와 일치시킨다.
- 참고문헌은 새로운 면에서 <참고문헌>이라는 제목을 단 후 시작한다. 참고 문헌의 작성은 아래의 3. 참고문헌의 작성을 참고한다.
- 저자는 제1저자를 제일 처음 명기하며 공동저자는 논문기여도를 고려하여 가나다 순서로 명기한다.
- 원고는 한글 사용을 원칙으로 하되 뜻을 명확히 하기 위해 불가피한 경우에만 한자를 쓰고, 외국학자의 이름은 원어로 쓴다.
참고문헌의 작성
- 참고문헌은 본문과 각주에서 언급된 모든 문헌의 자세한 문헌 정보를 논문 말미의 <참고 문헌>에서 밝힌다. 본문과 각주에서 언급되지 않은 문헌은 포함시키지 않는다.
- 각 문헌은 한글 문헌, 로마자로 표기되는 문헌, 기타 언어 문헌 순으로 배치한다. 한글 저자명은 가나다순으로, 로마자 저자명은 알파벳순으로 표기하고, 기타언어의 경우 해당 언어 체계의 순서에 따른다.
- 참고문헌은 저자, 출판연도, 제목, 출판사항의 순서로 기재한다.
- 같은 저자의 여러 문헌은 연도순으로 배치하며 같은 해에 발행된 문헌이 둘 이상일 경우에는 글에서 언급된 순서에 따라 발행 연도 뒤에 a, b, c를 첨가하여 구분한다.
- 각각의 문헌은 다음의 구체적인 예에서 제시된 형식에 따라 작성한다.
- 저서.
- 저자 1인인 경우
김용호. 2001. 『한국 정당정치의 이해』. 서울: 나남출판. Rhode, David W. 1991. Parties and Leaders In the Postreform House.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저자 2인 이상인 경우: 본문과 각주에서는 “누구 외”로 표시하지만 참고문헌에서는 공동저자 모두의 이름을 적어 준다. 단, 처음부터 책 표지나 안장에 “누구 외”라고 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대로 표기한다.
홍길동·허생·흥부. 1993. 『조선조 소설 인물고』. 성남: 정신문화연구원. Berelson, Bernard R., Paul F. Lazarsfeld and William McPhee. 1954. Voting.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이돌석 외. 1992. 『공공 선택의 이론과 실제』. 서울: 선택사.
- 저자 1인인 경우
- 학위 논문.
홍길동. 1992. “조선 후기 민란의 도덕 경제.” 집현대학교 박사 학위 논문.
Doe, John. 1988. “The Social Banditry in Late Imperial China.” Ph. D. Diss., Robin Hood University. - 편집된 책 속의 글.
- 편집자가 밝혀진 경우
장노자. 1991. “국가권력과 시민사회.” 김서방·연놀부·이어도 편. 『국가 이론의 재조명』.서울: 호박사.
Nie, Norman H. Sidney Verba, and John R. Petrocik. 1993. "The Decline of Partisanship." In Classics in Voting Behavior. ed. Richard G. Niemi and Herbert F. Weisberg. Washington D.C.: Congressional Quarterly Inc. - 편집자가 밝혀지지 않은 경우
관중. 1992. “자본주의 발전과 정치적 민주주의: 몇 가지 이론적 문제.” 『조직자본주의의 정치』. 서울: 집현연구소.
- 편집자가 밝혀진 경우
- 라. 번역서
Evans, Lawrence C. and Walter J. Oleszek. 1997. Congress Under Fire: Reform Politics and the Republican Majority. Boston: Houghton Mifflin Company. 미국정치연구 회 역(2000). 도서출판 오름. - 동양 문헌의 경우.(전체 추가) 동양 고전의 참고 문헌을 작성할 경우에 필자, 서명, 출판지, 출판사, 발행 연도를 기재하는 것이 무의미하므로 『삼국사기』, 『선조실록』 또는 『論語』 등만을 표기한다.
- 학회보, 월간지, 계간지 등의 논문이나 기명 기사.
정진민. 2000. “1980년대 이후 미국 정당정치의 변화: 정당일체감과 세대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보』 34-1, 237-254. Aldrich, John H. 1999. "Political Parties in A Critical Era." American Politics Quarterly 27-1: 9-32. - 학회에서 발표한 논문(proceeding)의 경우
김민주. 1988. “한국 민주주의와 시민사회 이론.” 한국정치학회 춘계 학술 대회. 서울. 5월.
Haggard, Stephen. 1996. “Democratization and Economic Performance in Korea.” International Science Association. San Diego. U.S.A. September. - 아. 일간지, 주간지의 기명 기사와 칼럼.
임거정. 1993. “유엔평화유지군 참여 결정.” 『중앙일보』 (4월 8일), 5. Juoro, Umar. 1993. “The Different Faces of Democracy.” Far Eastern Economic Review (April 22), 23.
- 저서.
- 이상에서 다루어지지 않은 사항은 시민정치연구 편집위원회로 문의한다.